[변수] : 어떠한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고 싶을 때 쓰임.
name = "Mike";
age = 30;
* 변수에 대한 것
첫째, 변수는 문자와 숫자, $와 _만 사용할 수 있다.
둘째, 첫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다.
셋째,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 (div,class ..같은 것.)
넷째,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사용해야한다.
예시) const MAX_SIZE = 99;
다섯째,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사용한다.
문자형 )
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는 항상 " ' ` 로 감싸준다.
ㄴ문자형은 3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.
const name = "Mike";
const age = 30;
const name1 = "Mike";
const name2 = 'Mike';
const name3 = `Mike`;
const msessage = "I'm a boy.";
const message2 = 'I\'m a boy.';
const message3 = 'My name is ${name}';
const message4 = '나는 {30+1}살 입니다.';
console.log(message4)
숫자형)
const age = 30;
const PI = 3.14;
console.log(1 + 2); //더하기
console.log(10 - 3); //빼기
console.log(3 * 2); //곱하기
console.log(6 / 3); //나누기
console.log(6 % 4); //나머지
* Nan : 숫자가 아니라는 뜻 not a number
잠깐 소개하는 뒷 내용. [2가지 함수]
alert : 경고창을 띄우는 함수,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. (확인버튼 같은 것)
console.log() : log를 찍는 함수.
prompt : 사용자로부터 값을 받을 수 있는 입력값
ㄴ 디폴트 값도 입력 가능함.
-----
다른 개발자와 함께 코드를 짤 때 코드가 겹칠 수도 있으니 그러한 상황을 대비해서 사용하는 것들
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에
변하지 않는 값은 const,
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한다.
*tip: 모든 변수를 const로 선언하고 나중에 변경될 여지가 있는 경우만 let으로 선언하기.
let 선언 후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음.
const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. 수정이 안됨. (파이, 생일, 최대값 등을 쓸 때 사용함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