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c언어[함수]

by 임숙숙 2024. 8. 17.

[함수]

void 함수명 ( ) {}

- 함수는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다. 

- 함수명은 모두 달라야 한다. (중복x)

- void 함수는 메인 함수 앞에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한다.

#include <stdio.h>

void sol1() {}
void sol2() {}

int main(void) {
  sol1();
  sol2();
  sol2();
  sol2();

  return 0;
}

 

매개변수 (int, double, char...)

ㄴ* int 정수, double 실수, char 문자

* sol1() -> 괄호 안에 값들은 '인자'라고 부른다.

* 출력값에 따라 앞에 매개변수를 통일시켜주어야 한다.

 

함수

-입력 (들어온 데이터): 매개변수,0-n개

-출력(나가는 데이터): return, 0-1개

 

// 문제 : 4칙연산을 하는 4개의 함수를 만들어주세요.

#include <stdio.h>

#pragma warning (disable: 4996)

int add (int a, int b) {
  return a + b;
}
int minus (int a, int b) {
  return a - b;
}
int multiply (int a, int b) {
  return a * b;
}
int divide (int a, int b) {
  return a / b;
}
double divide2 (int a, int b) {
  return (double)a / b;
}
double mod (int a, int b) {
  return a % b;
}


int main(void) {
  int a = 0;

  a = add(10, 20);
  printf("두 수의 합 : %d\n", a);
  // 출력 => 두 수의 합 : 30

  a = minus(10, 20);
  printf("두 수의 차 : %d\n", a);
  // 출력 => 두 수의 합 : -20

  a = multiply(10, 20);
  printf("두 수의 곱 : %d\n", a);
  // 출력 => 두 수의 곱 : 200

  a = divide(40, 20);
  printf("두 수를 나눈 몫 : %d\n", a);
  // 출력 => 두 수를 나눈 몫 : 2

  double b = divide2(39, 5);
  printf("두 수를 나눈 몫 : %f\n", b);
  // 출력 => 두 수를 나눈 몫 : 7.800000

  a = mod(40, 3);
  printf("두 수를 나눈 나머지 : %d\n", a);
  // 출력 => 두 수를 나눈 나머지 : 1

  return 0;
}